인문 철학98 ☯ 중용 인간의 맛 제24강 사랑의 역설 ☯ 중용 인간의 맛 제24강 사랑의 역설 ♣(중용)13장: 子曰자왈: “道不遠人도불원인. 人之爲道而遠人인지위도이원인, 不可以爲道불가이위도. 詩云시운: 伐柯伐柯벌가벌가, 其則不遠기즉불원. 執柯以伐柯집가이벌가, 睨而視之예이시지, 猶以爲遠유이위원. 故君子以人治人고군자이.. 2017. 8. 31. ☯ 중용 인간의 맛 제23강 魚躍于淵 어약우연 ☯ 중용 인간의 맛 제23강 魚躍于淵 어약우연 ☞五倫오륜은 규범윤리의 덕목이 아리라 인간존재를 가능케 하는 관계의 총칭이다. ☞동양사상의 하나님은 창조의 주인이 아니라. 천지의 창조력 그 자체이다. ♣富有之謂大業당유지위대업, 日新之謂盛德일신지위성덕, 生生之謂易생생지.. 2017. 8. 31. ☯ 중용 인간의 맛 제22강 本體본체와 現象현상 體체와 用용 ☯ 중용 인간의 맛 제22강 本體본체와 現象현상 體체와 用용 ☞ 君子之道군자지도, 費而隱비이은. 夫婦之愚부부지우, 可以與知焉가이여지언, 及其至也급기지야, 雖聖人亦有所不知焉수성인역유소불지언: ☞君子依乎中庸군자의호중용, 遯世不見知而不悔둔세불견지이불회, 唯聖者能之.. 2017. 8. 31. ☯ 중용 인간의 맛 제21강 費비 隱은 ☯ 중용 인간의 맛 제21강 費비 隱은 ♣(중용)제12장: 君子之道군자지도, 費而隱비이은. 夫婦之愚부부지우, 可以與知焉가이여지언, 及其至也급기지야, 雖聖人亦有所不知焉수성인역유소불지언: 夫婦之不肖부부지불초, 可以能行焉가이능행언, 及其至也급기지야, 雖聖人亦有所不能焉수.. 2017. 8. 31. ☯ 중용 인간의 맛 제20강 자로의 인생역경 ☯ 중용 인간의 맛 제20강 자로의 인생역경 ☞子路자로그림: 武氏祠畵象石무씨사화상석: 산동성 嘉祥縣가상현 紙坊鎭지방진 武翟山무적산 北麓북록에 위치한 사당의 석식들의 벽면을 빙 둘러 장식한 그림벽돌. 후한 환제, 영제 시기 AD 147~189. ☞자로그림은 수탉의 꼬리를 머리에 꽂고 .. 2017. 8. 31. ☯ 중용 인간의 맛 제19강 强강함 이란? ☯ 중용 인간의 맛 제19강 强강함 이란? ♣(중용)10장 紫鷺問强자로문강. 子曰자왈: 南方之强與남방지강여? 北方之强與북방지강여? 抑而强與억이강여? 寬柔而敎관유이교, 不報無道불보무도, 南方之强也남방지강야, 君子居之군자거지. 衽金革임금혁, 死而不厭사이불염, 北方之强也.. 2017. 8. 31. ☯ 중용 인간의 맛 제18강 白刃可蹈 백인가도 ☯ 중용 인간의 맛 제18강 白刃可蹈 백인가도 ☞오캄의 면도날: 유명론자들의 격언. 존재는 필요 없이 증가시켜서는 안된다. 모든 공허한 개념들을 면도날로 도려내듯 잘라 내버리라는 뜻. ♣(중용)9장 子曰: 天下國家可均也천하국가가균야, 爵祿可辭也작록가사야, 白刃可蹈也백인가도.. 2017. 8. 31. ☯ 중용 인간의 맛 제17강 안회의 삶과 죽음 ☯ 중용 인간의 맛 제17강 안회의 삶과 죽음 ☞孟子有感激興發人心處맹자유감격흥발인심처, 中庸亦難讀중용역난독, 看三書後간삼서후, 方宜讀之방의독지. (중용)은 본시 읽기 어려운 책이다. (대학)(논어)(맹자)세 책을 읽고 나서 읽으면 비로소 이해가 되는 책이다. (주희) ☞(중용)은 .. 2017. 8. 31. ☯ 중용 인간의 맛 제16강 인간 공자 ☯ 중용 인간의 맛 제16강 인간 공자 ☞(중용)제7장 해석의 핵심: “人皆曰予知 인개왈여지,”에서 “予여”(나)의 주체를 누구로 보느냐는 것이다. “予여”가 공자일 수도, 보통사람일 수도 있다. ☞ 擇乎中庸 택호중용, 而不能期月守也 이불능기월수야. 驅而納諸罟擭陷阱.. 2017. 8. 31. 이전 1 2 3 4 5 6 ···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