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저녁이 아름다운 집 夕佳軒
  • 용담 龍潭 의 맑은 물은 이 안이 龍安處
  • 보는 만큼 알고 아는 만큼 느낀다.

인문 철학98

☯ 제8강 아암의 대발견 ☯ 제8강 아암의 대발견 ※ 제4차 결집~쿠샨왕조의 카니슈카왕의 후원으로 카쉬미르 에서 열림 2세기 전반 4차 결집 때 부처님 말씀은 반드시 (산스크리트)어로 기록되어야 된다는 것을 결의했다. ♣ 산스크리트 어로 암송한사람 또는 기록한 법문들이 천산북로와 남로를 통해 만나는 .. 2015. 12. 4.
☯ 제7강 속세속의 불교 ☯ 제7강 속세속의 불교 ♣ 보본(報本)~나의 존재의 뿌리에 보답한다. 돌아가신 조상과 살아계신 부모님께 감사하는 마음을 지닌다. ♣ 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부모님의 은혜를 설한 불교경전. 위경의 시비가 있으나 이미 AD2세기 안세고가 번역한 (불설부모은난보경)에서 그 원형을 .. 2015. 12. 4.
☯ 제6강 팔리어 삼장 ☯ 제6강 팔리어 삼장 ♣ 현장(玄奘 602~664)~중국 법상종(法相宗) 구사종(俱舍宗)의 개조 629년 천산북로를 거처 북인도에 도착 645년 남로를 거처 장안에 들어왔다. ※ 根本佛敎(근본불교)~붓다 생존 시의 불교 일본학자 아네사키가 근본불교라 는 책에서 (1910)처음 쓰기 시작한 개념 .. 2015. 12. 3.
☯ 제5강 싯달타와 라훌라 ☯ 제5강 싯달타와 라훌라 ♣ 싯달다 는 6년을 고행하고 붓다가 되였고 6년을 방랑하다 12년 만에 카딜라성 으로 돌아온다. 라훌라가 12살 때이다. ☛ 야쇼다 가 라훌라 를 시켜 아버지 붓다에게 재산을 달라하니 붓다가 라훌라 아들을 데리고 숲으로가 일컫는 말이 (숫타니파타 남전 경장 소부5번째 경전에 나오는 말) “교만 하지 말라” 늘 함께 살고 있기 때문에 너는 현자들을 가볍게 보고 있는 것이 아닌가? 모든 사람을 위해 햇불 을 비쳐주는 사람을 너는 존경하고 있느냐? 하면서 시작한다. 음식의 양을 아는 사람이 되어라? 모든 형상은 덧없이 변한다는 것은 알고 마음속에 숨어있는 자만심을 벼려라. 자만의 마음이 사라지게 되면 아들아 너는 조용하고 편하게 이 세상을 살아가게 될 것이다 ☛ 내가 너에게 물려줄.. 2015. 12. 3.
☯ 제 4강 싯달타의 출가 ☯ 제 4강 싯달타의 출가 ♣ 붓다의 4대 성지~ ① 룸비니(탄생지) ② 보드가야(대각지) ③ 사르나트(초전법륜지) ④쿠시나가르(열반지)는 역사적 고중이 확실한 유적이다. ♣ 정반왕(淨飯王 40세)~카딜라성의 왕이며 싯달타의 아버지로 이야기되는 인물 ♣ 마야 (摩耶 45세)~싯달타의 친엄마 싯달타을 낳고7일만에 사망했다. 마야부인이 산기가 있어 만삭으로 친정으로 가다 룸비니에서 모오수(나무)을 잡고 겨드랑이 에서 아들(싯달타)을 출산했는데 7발짝을 걸어가 (천상천하 유아독존) 나홀로 존귀한 존재로다.내가 살아있는 동안 모든 고를 없게 하리라 설했다는 (설화) ☛ 마야부인이 카딜라성에 돌아와 7일만 에 사망했다 ☛ 어머니의 죽음은 싯달타를 매우 섬세한 감성의 소유자로 만들었다. 그것은 궁극적으로 출가를 운.. 2015. 12. 3.
☯ 제3강 싯달타의 생애 ☯ 제3강 싯달타의 생애 ♣ 카필라바스투~ 틸라우리콧트 유적. 싯달타의 탄생지. 지금은 네팔 영토에 속해있다. 1967년 일본 입정대학과 네팔 고고학국이 공동발굴. 1967년 발굴의 결과 그 유적의 크기는 동서400m 남북500m 정도로 판명되었다. ☛ 수달장자(須達長子)~사위성 사람으로 붓다시대의 가람. 기원정사를 건립. 고독하고 가난한 사람에게 급식을 많이 베풀어 급고독장자 (給孤獨長子)라고도 부른다. ☛ 서브콘티넌트~ 아대륙(亞大陸)으로 번역되는데 주로 인도를 지칭하는 말이다 ☛ 드라비다족~ 아리안족이 오기전의 인도대륙의 원주민. 인더스강 문명의 주역으로 간주된다. 현재는 인도의 남부에 분포. ☛ 아리안족~중앙아시아 에서 유래한 코카서스 원종으로 BC1500~1200년 사이에 인도대률에 정착 ☛ 산.. 2015. 12. 3.
☯ 제2강 싯달타와 세종대왕 ☯ 제2강 싯달타와 세종대왕 ♣ 고타마 싯달다 ~ 悉 다실 達 통달달 多 많을다 (싯달다) 붓다(깨달은 사람)~고타마=구담(瞿曇) 싯달타 의 씨족 명 ♣ 석가모니~釋家(석가)=성~ 싯달타가 속해있는 종종명 모니=(성자) ♣ 붓다의 4대 성지 1,룸비니 (탄생지) 2,보드가야 (대각지) 3,사르나르 (초전 법륜지) 4,쿠시나가르 (열반지) ~역사적 고증이 확실한 유적이다. ※ 釋譜詳節(석보상절)~세종31년 1449년 간행 유교국가의 첫 한글작품이 석가모니의 전기라는 아이러니를 암시하고 있다. (석가모니 일생을 자세하게 또는 간락하게 그린 한글문학 작품) ※ 業(업) 輪回(윤회) 解脫(해탈)은 인도문명의 세 기둥이다. ♣ 자식을 를 위하여 부모가 비는 것도 대승불교의 회향이론에 합치되는 좋은일 일수 있다. .. 2015. 12. 2.
☯ 제1강 인도문명의 세 기둥 ☯ 제1강 인도문명의 세 기둥 ※ 업보 (業報) 1,업~ 행위 인도말로 까르마의 의역 2,보~ 행위의 결과 ♣ 윤회~업으로 인해생기는 현상 육도윤회 1,地獄 지옥 2,餓鬼 아귀 3,丑生 축생 4,修羅 수라 5,人 인 계 6,天 천 계 ♣ 도덕적 압력 해결은 서양, 인도, 중국, 1,서양~초월적 세계 2,인도~윤회적 세계 3,중국~역사적 세계 ※ 싯달타 는 숙명적인 업을 혁명적인 업으로 전환시킨 인도의 대사상가 이다. 불교는 시종일관 카스트(인도사회의 계층을 지칭하는말)를 부정했다. 철저한 평등론적 인간관을 고집했다. ☛ 불교를 초 윤리적 종교로서만 이해할 수는 없다. 초기불교는 철저히 윤리적이다. ♣ 카스트제도~ 포루투칼 에서 유래한 인도사회의 계층 1 브라흐만 계급 2 크샤트리야 계급 3 바이샤 계급 .. 2015. 1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