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저녁이 아름다운 집 夕佳軒
  • 용담 龍潭 의 맑은 물은 이 안이 龍安處
  • 보는 만큼 알고 아는 만큼 느낀다.

인문 철학98

☯ 중용 인간의 맛 제6강 中중과 和화 ☯ 중용 인간의 맛 제6강 中중과 和화 ♣君子戒愼乎其所不睹군자계신호기소불도, 恐懼乎其所不聞공구호기소불문. ☞“감추인 것이 드러나지 않을 것이 없고, 숨은 것이 알려지지 않을 것이 없다.” 마태 10:26,누가 12:2에 있는데 두 복음서의 의미맥락이 약간 다르다. ☞戒愼계신과 恐.. 2017. 8. 31.
☯ 중용 인간의 맛 제5강 이성과 감정 ☯ 중용 인간의 맛 제5강 이성과 감정 ♣天命之謂性천명지위성: 하늘이 명하는 것. 그것을 일컬어 性성이라 한다. ☞칸트는 이 세계를 인간의 오성의 범주가 구성한 것으로 보았다. 子思자사의 사상에는 그러한 일방적 방향성이 없다. 모든 인식은 세계와 나의 교섭의 과정일 뿐이다. .. 2017. 8. 31.
☯ 중용 인간의 맛 제4강 ☯ 중용 인간의 맛 제4강 ☞ 배움의 길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훌륭한 스승을 만나는 일이다. 옛 동방인들은 이를 “大人대인을 만나다.”(利見大人,주역)라고 표현했다. ☞ 한 철학자의 사상에 접근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우선 哲學史철학사를 읽는 것이다. 다음으로 그에 관한 좋은 개.. 2017. 8. 31.
☯ 중용 인간의 맛 제3강 ☯ 중용 인간의 맛 제3강 ♣ 中庸중용1장 天命之 謂性천명지위성, 率性之謂道솔성지위도, 脩道之謂敎수도지위교, 道也者도야자, 不可須臾離也불가수유이야, 可離가이, 非道也비도야, 是故君子戒愼乎其所不睹시고군자계신호기소불도, 恐懼乎基所不聞공구호기소불문, 莫見乎隱막현호.. 2017. 8. 31.
☯ 중용 인간의 맛 제2강 ☯ 중용 인간의 맛 제2강 ☞ 타카쿠스 쥰지로오 1866~1945가 (대정대장경)을 편찬하고 그의 제자 우이하쿠쥬 1882~1963가 (인도철학연구)를 낸후 쏟아져 나온 학자군은 세계 인도학을 압도하고 있다. ☞ 우리나라의 학문세계 각 방면에서 나온 사전들의 대부분이 일본 사전들에 의거한 것이.. 2017. 8. 31.
☯ 중용 인간의 맛 제1강 ☯ 중용 인간의 맛 제1강 ♣ 순수이성비판 독일사람 칸트 1724~1804의 대표작으로 과학이성의 위대함과 한계를 밝힘으로써 인류의 근대적 가치를 확고히 만든 명저 ♣ 정신현상학 독일 예나대학 사 강사였던 헤겔 1770~1831이 쓴 대저 인간 정신의 발전과정을 변증법적으로 밝힘 당시 독일은 신성로마제국이라는 명목 하에 수백 개의 영방으로 분열되어 있었다.☞ 청춘의 힘은 오로지 미래의 창조에 있다. 창조는 감상적 눈물이 아니다. 명료한 논리적 구성이다. 피눈물 나는 학문의 노력이 없이 창조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예나전투(1806) 프랑스인 나폴레옹이 독일의 최강인 프로이센을 대파하고 베를린까지 입성한 사건. 헤겔은 프로이센을 옹호하지 않았기 때문에 독일인이면서도 이 사건을 부정적으로 바라보지 않았다.☞.. 2017. 8. 31.
☯ 26 조선 문명의 미래 ☯ 26 조선 문명의 미래 ☞갑오농민전쟁을 ⟶ 갑오동학민중항쟁으로 해야 한다. ☞수운의 처형(1864)에서 갑오동학민중항쟁(1894)까지의 30년 역사를 한 몸으로 이끌면서 포접활동을 한 인물이 바로 해월 최시형(1827~1898)이다. ☞최시형은 1827년 경주시내 황오리(皇吾里)에서 태어났다 .. 2016. 11. 21.
☯ 25 다시 개벽 ☯ 25 다시 개벽 ☞실학을 조선 근대의 맹아로 보고, 동학을 근대의 본격적 시작으로 보는 사관은 매우 잘못된 것이다. 인류의 역사에 있어서 서구 중심적 근대 그 자체가 부정되어야 한다, ☞개벽의 역사는 서양의 단계발전사관을 근원적으로 부정하는 완전히 새로운 역사인식이다. ☞.. 2016. 11. 21.
☯ 24 東學이란 무엇인가 ☯ 24 東學이란 무엇인가 ☞논학문(論學文): 동경대전의 두 번째 글 ☞서양지인, 도성입덕, 급기조화, 무사불성. (西洋之人, 道成立德, 及其造化, 無事不成). 공투간과, 무인재전, 중국소멸, (攻鬪干戈, 無人在前, 中國燒滅), 기가무순망지환야? (豈可無脣亡之患耶)? ☞중국은 아편전쟁(1640.. 2016. 11.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