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 철학98 ☯ 중용 인간의 맛 제27강 登高自卑 등고자비 ☯ 중용 인간의 맛 제27강 登高自卑 등고자비 ☞上不怨天상불원천, 下不尤人하불우인. ☞청춘은 반항이며 항거이며 도약이다. 발랄한 생의 에너지의 집약태이며, 모든 가능성을 함장하며, 환경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福德不一致복덕불일치 ☞칸트는 도덕과 행복이 일치되는 .. 2017. 10. 2. ☯ 중용 인간의 맛 제26강 富貴부귀와 斯文사문 ☯ 중용 인간의 맛 제26강 富貴부귀와 斯文사문 ♣(중용)제14장 ♣君子素其位而行군자소기위이행, 不願乎其外불원호기외. 素富貴소부귀, 行乎富貴행호부귀; 素貧賤소빈천, 行乎貧賤행호빈천; 素夷狄소이적, 行乎夷狄행호이적; 素患難소환난, 行乎患難행호환난. 君子無人而不自得焉군.. 2017. 10. 2. ☯ 중용 인간의 맛 제25강 言언과 行행 ☯ 중용 인간의 맛 제25강 言언과 行행 己所不欲기소불욕, 勿施於人물시어인. (논어)15~23 이 명제는 비단(논어)뿐 아니라, 유대교 지혜문학, 희랍철학, 불교 원시경전, 이슬람 문헌에도 나타나는데 대개 같은 부정형을 취하고 있다. 기독교 황금률만 예외이다. ☞네가 원치 아니 하는 바.. 2017. 10. 2. ☯ 중용 인간의 맛 제36강 至誠無息지성무식 (지성은 쉼이 없다.) ☯ 중용 인간의 맛 제36강 至誠無息지성무식 (지성은 쉼이 없다.) (중용)25장의 해설로부터 시작된다. ☞誠者自成也성자자성야, 而道自道也이도자도야. ☞우주의 진화가 조물주에 의하여 설계된 것이 아니라, 우주가 스스로 자신을 조직해나가는 것이라는 사실을 子思자사의 自成자성.. 2017. 8. 31. ☯ 중용 인간의 맛 제35강 天下至誠 천하지성 ☯ 중용 인간의 맛 제35강 天下至誠 천하지성 ☞일본인들은 壬辰倭亂임진왜란을 “분로쿠 케이초오노에키라고 부르는데, 최근의 한국사 관계 일본사전은 “임진왜란”을 그대로 쓰기도 한다. ☞나고야성 임진왜란 출병 총사령부, ☞토요토미 히데요시: 1536~1598, 假道入明가도입명: 명.. 2017. 8. 31. ☯ 중용 인간의 맛 제34강 自誠明자성명 ☯ 중용 인간의 맛 제34강 自誠明자성명 ♣(중용)20장 博學之박학지, 審問之신문지, 愼思之신사지, 明辨之명변지, 篤行之독행지. 有弗學 유불학, 學之弗能弗措也학지불능불조야; 有弗問유불문, 問之弗知弗措也문지불지불조야; 有弗思유불사, 思之弗得弗措也사지불득불조야; 有弗辨유.. 2017. 8. 31. ☯ 중용 인간의 맛 제33강 九經구경 (아홉가지 원칙) ☯ 중용 인간의 맛 제33강 九經구경 (아홉가지 원칙) ☞공자가 脩身수신, 治人치인, 治天下國家치천하국가에 관해 말을 마치자, 哀公애공은 “그렇다면 정치는 이것만 다하면 되는 것입니까?” 하고 묻는다. 그러자 공자는 “九經구경”의 원칙을 제시한다. ♣九經구경은 1.脩身수신 2... 2017. 8. 31. ☯ 중용 인간의 맛 제32강 困知곤지 ☯ 중용 인간의 맛 제32강 困知곤지 ☞其人기인: 그 사람. 人治인치의 근본개념 ☞斯文사문: 이 문화. 인문주의의 핵심 ☞斯文사문: 天之未喪斯文也천지말상사문야, 匡人其如予何광인기여여하! (논어)(자한)5 ☞仁인은 自然자연이다. 자연은 합목적적인 동시에 협애한 합목적성을 초월.. 2017. 8. 31. ☯ 중용 인간의 맛 제31강 其人기인 ☯ 중용 인간의 맛 제31강 其人기인 (孔子家語공자가어)는 44편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제17편이 (哀公問政애공문정)편이다. (가어)는 과거에 위작으로 간주해왔으나 최근의 간백자료의 발굴로 그것은 최소한 (맹자)이전 작품이라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가어)와 (중용)의 성립연대 선후를 .. 2017. 8. 31. 이전 1 2 3 4 5 ···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