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저녁이 아름다운 집 夕佳軒
  • 용담 龍潭 의 맑은 물은 이 안이 龍安處
  • 보는 만큼 알고 아는 만큼 느낀다.
인문 철학

☯ 제6강 팔리어 삼장

by 용 담 2015. 12. 3.

☯ 제6강 팔리어 삼장

♣ 현장(玄奘 602~664)~중국 법상종(法相宗) 구사종(俱舍宗)의 개조 629년

   천산북로를 거처 북인도에 도착 645년 남로를 거처 장안에 들어왔다.

※ 根本佛敎(근본불교)~붓다 생존 시의 불교 일본학자 아네사키가 근본불교라 는

   책에서 (1910)처음 쓰기 시작한 개념

♣ 大般涅槃經(대반열반경)~에 부처는 나에 의해 설해진 법과율 만이 내가

   죽은 후 너의 들의 스승이다. 라고 하셨다.

♣ 법~은(수트라)경(經) 이라한다 구슬 같은 것을 꿰었다는 뜻(부처님의 원래 가르침)

☛ 다문제일(多聞第一)~25년간 붓다를 시봉한 아난다 의 탁월한 기역력 을 지칭한 말

   모든 경의 시작은 如是我聞 (여시아문)이와 같이 들었다 로시작하고

   聞佛所說 歡喜奉行 (문불소설 환희봉행)으로 끝낸다.

♣ 왕사성(王舍城)~부처님 당대의 대국 마가다왕국의 수도에 최초의 가람

   영취산에 세워진 죽림정사(竹林精舍)

   (양산 통도사 뒷산이 인도의 영취산을 달맞다 해서(靈鷲山)영취산이라 부른다)

♣ 영산회상(靈山會相)~궁중 혹은 민간에서 연주되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음악

   부처님이 영취산에서 설한 법회의 장엄한 모습에서 유래

☛ 인도사람 들은 부처님의 경을 암송으로 전해지는 문화다.

   결집(結集)~상기띠(Samgiti)같이 노래 부른다는 뜻

   송품(誦品)~불교경전을 끊는 단위 중국경전의 권이나 편에 해당

♣ 제1차 결집~왕사성에서 경과 율이 정해진 후 100년 후에

   제 2차 결집~바이실리에서 율에 십사가 문제 됨.

♣ 십사(十事)~문제가 된 10가지 조항의 계율

   1.염사 정~전날 받은 소금을 저장 할 것인가 안할 것인가 등

   2.이지 정~정오 식사 후 이지의 시간에 다시 먹을 수 있는가 없는가 등

   3.금은 정~보시로 금 은 을 받을 수 있는가 없는가 등등

☛ 십사의 논쟁으로 ① 상좌부(보수적) ② 대중부(진취적)로 분열됨 이것이 근본분열

♣ 근본분열(根本分裂)~상좌부와 대중부가 갈라지면서 단일교단 으로서의

   불교는 사라지게 된다. 이로 인해 계속분열 되면서

   20부파로 분열됨. 이것이 부파불교다

♣ 부파불교(部派佛敎)~근본분열 이후 소승20부가 성립하는 시기의 불교를 소승불교 다

   즉(소승불교(小乘佛敎)는 부파불교(部派佛敎) 이고 대승불교는 대중불교로 이해된다)

   소승의 틀 를 잡아가는 시기를 아쇼카 왕조시대임

♣ 제3차 결집~아쇼카 왕의 후원으로 파탈리푸트라 화자성(華子城)에서 열린결집

   (근본불교+원시불교+부파불교 까지)=(초기불교) 을

☛ 아비달마(阿毘達磨)~법(法)에 관한(아비)논서 그러니까 (경)에 대한주석을 말함.

   (논장)을 쓰기 시작함 (팔리어로 만들어졌다.)

   (근본불교+원시불교+부파불교 까지)=초기불교

   1.근본불교(根本佛敎)(붓다의 생존 시 불교)~

   2.원시불교(原始佛敎)(붓다의 사후부터 근본분열 전까지의 통합종단시기)~

   3.부파불교(部派佛敎)는 소승불교(근본분열 부터 기원전후 시대쯤)~

   4.대승불교(大乘佛敎)는 소승불교의 한 특별한 부파로서 이해됨 기원전후

      시대쯤부터 새롭게 일어난 대중 재가신도 운동으로서의 불교사조

   (후에 중국으로 건너감)~이시기에 예수탄생

♣ 역사적 싯달다는 마가다 어를 사용했고 마가다 어는 삼스끄리타어의 토속어

   인도아리안의 민중어중 하나가 마가다어 이다.

☛ 팔리어~아반띠 국의 수도인 웃제니 지방의 민중어 불교최초의 성전은 이서방 인도

   팔리어로 만들어졌다.

♣ 팔리어 삼장~(원래 부처님을 알수 있는 것) 1.경장 2.율장 3.논장으로 되어있다.

♣ 아쇼카 대왕은 아들 마힌다와 딸 싱가밋다 를 법사들과 함께 스리랑카섬 으로

   (팔리어 삼장을 외우는 사람들)를 보낸다.

♣ 팔리어 삼장이 문자화된 것은 BC29년경 밧타가마니 아바야왕의 통치 시기였다.

   팔리어 삼장이 스리랑카 에서 전승되다가 팔리어삼장 성립시기~(기원전후시대 때

   스리랑카섬 에서 문자화되어 2,000년 동안 공개돼지 안고 숨 쉬고 있었다. )

♣ 영국이 인도 을 지배하면서 19C후반~20C 에 팔리어 연구를 개척한 영국의 대석학

   리즈데이비즈 에 의해 번역 세상에 알려졌다. (1930년대 알려짐)

   1881년 리즈데이비즈에 의해 런던에 팔리성전협회가 설립 되었다.

♣ 이것을 동양에서는 팔리어로 만들어진 것을 일본이 번역 타카쿠스(박사공적기념회의)

   석학들이 1935년~1941년 사이에 번역 南傳大藏經(남전대장경) 팔리어 삼장의

   완역본 65권 70책에 이른다.

 

                        도올 강의에서』용담 



'인문 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제8강 아암의 대발견  (0) 2015.12.04
☯ 제7강 속세속의 불교  (0) 2015.12.04
☯ 제5강 싯달타와 라훌라  (0) 2015.12.03
☯ 제 4강 싯달타의 출가  (0) 2015.12.03
☯ 제3강 싯달타의 생애  (0) 2015.12.0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