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저녁이 아름다운 집 夕佳軒
  • 용담 龍潭 의 맑은 물은 이 안이 龍安處
  • 보는 만큼 알고 아는 만큼 느낀다.
인문 철학

☯ 중용 인간의 맛 제8강 군자와 소인

by 용 담 2017. 8. 31.

중용 인간의 맛 제8강 군자와 소인


☞질문: 天地人천지인 三才삼재의 세계관은 독특한 동방인의 인식구조

입니다. 이 세계관의 인식구조의 당위성은 서양의 인식구조보다

우월하기 때문입니까?

☞답: 세계는 알고 보면 나의 인식주관이 구성해놓은 환경세계의

그물망이다. 객관적 절대세계는 존재하지 않는다.

世界觀세계관: 서양과학의 세계도 觀볼관이다. 그것이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현재로서는 그것이 가장 일반 법칙적이고 실용적인 가치가

있다고 인정되고 있을 뿐이다.

서구과학의 세계관은 매우 우월하며, 우리가 존중해야 한다.

그러나 그것이 유일한 세계관은 아니다.

☞천지 코스몰로지 라는 천지의 우주론은 서양과학이 상상치 못했던

다른 인식구조이다. 그러나 서양과학세계관과 천지 코스몰로지 사이에서

가치의 우열을 논할 수는 없다. 양자는 다를 뿐이다.

♣喜怒哀樂之未發희노애락지미발, 謂之中위지중,

☞옛 사람들은 喜怒哀樂희노애락을 인체의 (肺폐, 金금) (脾비, 土토)

(肝간, 木목) (腎신, 水수)이라는 주요장기로 구성되었다고 보았다.

이것도 하나의 觀관이다.

♣ 肺폐 ↔ 哀性애성 → 양 → 폐대 간소 → 태양인

脾비 ↔ 怒性노성 → 양 → 비대 신소 → 소양인

肝간 ↔ 喜性희성 → 음 → 간대 폐소 → 태음인

腎신 ↔ 樂性낙성 → 음 → 신대 비소 → 소음인

☞李濟馬이제마, 1837~1900의 사상의학은 (중용) 제1장을 창조적으로

해석한 데서 생겨났다. 희노애락의 性情성정을 장기와 결부시켜

체질의 차이를 논했다.

☞약초에도 희, 노, 애, 락이 다 있다. 일례를 들면 애성이 강해서 생기는

병은 희성을 돋구는 약초를 써서 애성을 눌러주어야 한다.

♣ 中庸중용2장

♣ 仲尼曰중니왈: 君子中庸군자중용, 小人反中庸소인반중용.

君子之中庸也군자지중용야, 君子而時中군자이시중;

小人之中庸也소인지중용야, 小人而無忌憚也소인이무기탄야.

☞로기온: 복음서를 구성하는 말씀자료.“예수 가라사대”로 시작되는 파편들.

☞복음서 (전기문학) ① 로기온: 말씀자료 ② 내러티브: 서술자료

☞공자자료 ①로기온자료모음: 子曰자왈 파편의(논어)

②내러티브자료: 사마천(사기) (공자세가) (공자가어)

☞(중용) 제2장부터 제20장까지는 공자의 말씀자료이므로, 그것 자체로

(논어)의 한 편이 될 수도 있는 성격의 공자어록이다.

☞子자: 선생님의 의미이다. 한 학파를 이룬 스승의 높임말.

당시는 제자백가시대였으므로 子자가 많았다.

☞ 출생하면 이름名을짓고 男子二十冠而字남자이십관이자. (예기)(곡례)

사람이 태어날 때 얻는 이름을 名이라 하고, 20셰 士冠禮사관례 때

얻는 이름이 字자이다. 이두 이름 합쳐서 名字명자라고 한다.

☞號호: 자기의 개성, 이상, 거소, 산천 등을 나타내는 자유로운 이름.

호가 가장 부담 없이 불려지는 이름이었다. 여러 개 있어도 무방.

한사람의 많은 호가 한 인간의 삶이 궤적을 나타내기도 한다.

♣공자의 아버지는 叔梁紇숙량흘, 은나라 후손으로서 선대에 魯노 지역

디아스포라에 이주하여 왔다. 기골이 장대한 武人무인이었다.

☞공자 어머니 顔徵在안징재의 顔氏안씨 가문은 곡부에서 세세로 살아온

유명한 무속집안 이었다. 계층은 낮았지만 예악을 전승한 전통 있는

집안사람들이었다.

☞공자의 아버지 (70세)숙량흘은 施氏시씨 부인과의 사이에서 9공주를

낳았고 마지막으로 아들을 낳았다.

그러나 아들 孟皮맹피는 신체부자유자 였다.

☞안씨가문 顔襄안양의 3자매 중에서 막내딸(16세) 顔徵在안징재가

공자아버지(70세)숙량흘과 결혼하겠다고 자칭했다.

☞尼山니산: 원래 尼丘山니구산 이라고 불렀다. 곡부 동남쪽 30Km에

위치. 70노인과 16세의 처녀가 진달래 흐드러진 니구산에 빌러가는

모습은 매우 낭만적이다. (니구산 칠성단에서 빌고 공자를 나았다.)

♣공자의 兒名아명은 孔丘공구이다. 字자는 (仲尼중니; 둘째仲 빌다尼)

니구산 모양으로 머리가 짱구라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生而首上圩頂생이수상우정, 故因名曰丘云고인명왈구운. (사기)(공자세가)

☞자사는 자기 할아버지를 名명으로 부를 수 없었기 때문에 字자로

부른 것이다.

♣ 仲尼曰중니왈: 君子中庸군자중용, 小人反中庸소인반중용.

☞공자의 中庸중용 → 추상화해서 → 자사의 中중, 和화

☞군자와 소인을 가르는 가장 명백한 기준이 바로 中庸중용이다.

♣君子懷德군자회덕, 小人懷土소인회토; (논어)

君子懷刑 군자회형, 小人懷惠소인회혜. (이인)

☞懷德회덕: 덕을 그리워한다. 덕을 품는다.

우암 宋時烈송시열 1607~89의 고향, “회덕”이라는 이름도

이(논어)구절에서 유래된 지명이다.

☞법망을 빠져나가는 구멍, 여기“懷惠회혜”에 해당된다.

☞오규우 소라이,1666~1728: 일본 에도시대의 대표적 사상가 중의

한사람,“고가쿠古學” 운동을 통하여 주자학을 비판하고 자신의 독창적

사상을 수립, 20세기에 마루야마 마사오가 그를 크게 어필시켰다.

君子군자를 통치자로보고 小人소인를 피지자로 보았다.

☞(論語徵논어징): 오규우 소라이가 (논어)를 창조적으로 해석한 명저.

거의 한 구절에도 주자를 인정하지 않는다. 완벽하게 반주자학적인 저술.

☞일본의 “古文辭學고문사학”은 古語고어의 원의를 추구한다.

주자학은 불교의 아류에 지나지 않으며, 유학의 본래 古文고문을 모르는

저열한 학문이라고 비판한다.

☞정다산은 강진에서 일본 고학파들의 저술을 접했다.

다산은 (論語徵논어징)을 직접 보지는 못했다.

소라이의 제자 다자이 슌다이 1688~1747의

(論語古訓外傳논어고훈외전)을 보았다. 다산은 에도 유학자들의

자유로운 사유에 충격을 받았을 것이다.

☞제주도로 유배 간 추사 김정희에게 제자 李尙迪이상적,1804~1865

이 그에게(晩學集만학집) (大運山房文藁대운상방문고)

(皇朝經世文編황조경세문편)을 보낸다.

그 보답으로 “歲寒圖세한도”를 그렸다.

♣Peer group; 동년배, 혹은 같은 수준의 사람끼리의 관계,

군자와 소인은 피어 그룹 내에서 사용되는 말이다. 계급적 차별은 없다.

♣공자가 인간을 바라보는 시각에는 보편주의가 깔려있다.

그에게 인간은 평등한 가능성의 존재였다. 계몽주의의 완성자인

칸트의 인간관보다도 훨씬 더 보편주의 정신이 철저하다.

☞有敎無類유교무류: 인간의 교육에는 類류적 차별이란 있을 수 없다.

-(논어) (위령공)-

☞自行束脩以上자행속수이상, 吾未嘗無誨焉오미상무회언.

한 다발의 육포라도 가지고 와서 예를 갖추면 나는 누구든지

가르쳐주지 않은 적이 없었다. (논어) (술어)

☞공자는 모든 인간이 동동한 교육의 대상이라고 생각했다.

서양에서는 이러한 이상이 근세 국민국가의 동장 이후에나 생겨난다.

공자의 보편주의는 세계 어느 사상가보다도 앞서는 것이다.

☞固天縱之將聖고천종지장성, 又多能也우다능야.

大宰知我乎대재지아호! 吾少也賤오소야천.

吾少也賤오소야천, 故多能鄙事고다능비사.

君子多乎哉군자다호재? 不多也불다야! (논어) (자한)

※ 제8강 핵심

인간의 모든 세계는 觀관의 지배 속에 있다. 우리는 수리적 법칙이

지배하는 서구 과학적 세계관을 존중해야 한다.

그러나 그것이 유일한 세계관은 아니다. 다양한 관에서 다양한 세계가

태어난다. 군자와 소인은 보편적 인간관을 전재로 한다.

중용을 실천하면 군자가 되고 중용에 반하면 소인이 된다.

조선의 젊은이들이여!

소인이 되지 말고 군자가 되자! 중용의 인간이 되자!




          「도올, 중용 강의에서」       용담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