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7 기와 정치
☞최한기의 기(氣)는 활(活),동(動),운(運),화(化) 한다.
① 활(活)⟶생기(生氣)⟶생명력 ② 동(動)⟶진작(振作)⟶운동성
③ 운(運)⟶주선(周旋)⟶순환성 ④ 화(化)⟶변통(變通)⟶변화성
☞천인운화(天人運化) 모든 운화를 총체적으로 일컫는 말.
☞최한기의집 4체의 이름
①기화당 (氣和堂): 인간과 우주의 신기(神氣)는 항상 통(通)한다.
통(通)은 결국 화(和)를 위한 것이다. 육륜(六倫)=오륜(五倫)+조민유화(兆民有和)
기화당 만민의 평등과 만국의 평화를 기원하는 집
기화당에서 최한기는 그의 대저 (기학 氣學) (인정 人政) (지구전요 地球典要)
등을 완성했다.
②양한정 (養閒亭): 한가로움을 기르는 집
③긍업제 (肯業齊): 인간의 직업을 즐겁게 만드는 재실.
우리나라 최초의 직업훈련학교였다.
④장수루 (藏修樓): 인간이 닦은 모든 것을 소장한 누각
☞주리(主理) 理를 중심으로 하는 학설
☞주기(主氣) 氣를 중심으로 하는 학설
☞리(理)와 기(氣)는 유학 본래의 사상이 아니라.
불교의 리(理) 사(事)등 본체 현상 개념의 영향 하에서 생겨난 것이다.
☞불교경전이 쓰여진 최초의 언어는 산스크리트 팔리어인데
이는 모두 인도 유러피안어군에 속한다.
☞중국어 한국어 일본어 등 동양 언어는
주부⎯술부의 엄격한 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다.
☞주부= 리(理)⟶불변⟶본체 ☞술부= 기(氣)⟶변화⟶현상
☞활동운화 하는 기의 우주는 술부의 세계다.
☞서양종교의 신관은 모두 그 언어의 구조와 필연적 관련을 가지고 있다.
☞최한기의 기학(氣學)은 우리 한국말의 내재적 구조로의 환원이다.
☞최한기의 술부적 우주는 스스로 조직해나가는 우주이다.
『도올강의 에서』용담
'인문 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 19 기와 과학 (0) | 2016.11.21 |
---|---|
☯ 18 기와 종교 (0) | 2016.11.21 |
☯ 16 기와 추축 (0) | 2016.11.21 |
☯ 15 죽음과 호적 (0) | 2016.11.21 |
☯ 14 법과 기학 (0) | 2016.11.21 |
댓글